시작페이지로 시작페이지로
즐겨찾기추가 즐겨찾기추가
로그인 회원가입 | 아이디찾기 | 비밀번호찾기 | 장바구니 모바일모드
홈으로 와싸다닷컴 일반 상세보기

트위터로 보내기 미투데이로 보내기 요즘으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첩목아)帖木兒에 대하여....,
자유게시판 > 상세보기 | 2020-03-29 21:35:51
추천수 0
조회수   1,334

제목

(첩목아)帖木兒에 대하여....,

글쓴이

양원석 [가입일자 : ]
내용
(첩목아)帖木兒에 대하여....,


<<아래는 한자를 새삼 뒤적이며 공부하다 새로운 해석을 발견하고서 갖게 된 개인적인 관점입니다.>>

 

티무르제국의 티무르(첩목아/帖木兒)라는 의미를 철(iron)의 제국이라고 해석하는 것은 티무르의 전투력에 제압당한 로마인의 항거 불능의 관점일 뿐이며, 우리나 몽고의 입장에선 첩목아 그대로였습니다.

이 부분을 한문을 가르치는 사람 중에서도 제대로 알고 밝히는 이가 거의 없어서 남겨 봅니다.

  

이지란의 이름이 古論豆蘭帖木兒이고, 이성계 조부의 이름이 ?顔帖木兒인데,

帖木兒라는 의미가 바로 몽고를 부르는 한자식 고급진 표현이라 제 한자 대자전에 적혀 있더군요.

그런 까닭에 몽고라고 왕조실록에 적은 것은 일제가 의도적으로 취한 교열의 흔적이라 여깁니다.



즉, 조선과 몽고를 마치 다른 계통으로 분열시키려 했던 일본놈들의 조작과 분열이라고 생각합니다.

구체적으론 제가 가진 한자 대자전에는 帖木兒에 대하여 “몽고를 일컫는 다른 美稱”이라고 밝히고 있습니다.

마치 몽고에선 우리나라를 솔롱고스라고 하듯 말입니다.

역사적으로 고려와 몽고는 일체이며 서로 다르지 않다고 바라봅니다.

(참고: 해마다 헝가리에선 대유목민 후손들의 축제 "쿠릴타이"가 열립니다.)



다만 차이가 있다면 유목생활을 유지하는 帖木兒와 농경 생활로 돌아선 帖木兒의 관계라고 봅니다.

즉, 서울로 가서 회사 생활을 아들과 조상의 땅에 남아서 농사를 고집한 아들의 관계와 다르지 않다고 

보는 입장입니다.



 


 
추천스크랩소스보기 목록
고영직 2020-03-29 22:03:40
답글

그럴거 같습니다.

여진, 말갈, 거란족 모두
고구려와 다른 종족으로 보기 어려울 정도로 같이 부대끼며 살았던 듯 합니다.

을지문덕 장군 이름도 그렇죠?
백제의 흑지상지도 ..

을지란 성은 선비(여진)족 계통에서 흔히 보이는 성이라 하더군요.

고영직 2020-03-29 22:25:06
답글

태조 이성계의 윗대는 전주에서 몽고의 쌍성총관부 지역(함경도 남부)으로 이주해서 몽고의 관직을 받아 살았고,
몽고가 명에 밀려 약해지는 시기인 고려말에는 고려에 협력했다고 합니다.
몽고식 이름은 몽고 통치하의 쌍성총관부 지역에 산 거와 연관이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이성위 2020-03-29 23:33:15
답글


이단(이성계)-의 부친인 이자춘의 행적으로 인해,몽골이니 여진이니 해대는 이상한 논리가 상당히 많은듯합니다만 ...이단은 그러한 피가 흐르지않는다고 봅니다..

yws213@empal.com 2020-03-30 01:54:47
답글

성위님, 이성계가 자신의 부친 이자춘을 조선의 추존왕으로 모시고, 환왕환조연무성환대왕
(桓王 桓祖 淵武聖桓大王)으로 추대하심을 격하하시는 뜻일른지요?
역사를 두루 살펴 보면 우리의 역사를 가리고 축소하려던 수작이 매우 조직적으로 벌어진 내력이 있어서 언급한 것입니다.
이성계의 고향이 화령이지요. 그런 이유로 모든 지형이 눈에 익고 어린 시절을 추억하며 화령에 나가서 사냥을 즐기었다고
적시하고 있습니다.
태종 이방원은 아랍의 무장 알리바바와의 전투에서 아주 가볍게 격퇴하였다고도 적혀 있지요.

  • 광고문의 결제관련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