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5&oid=028&aid=0002308556
2011년 4월, <뉴욕 타임스>와 <비비시>(
BBC)를 포함해 전세계 언론이 과학 논문 한편을 대서특필했다. 영국 유니버시티칼리지런던의 가나이 료타 박사와 그의 지도교수 저레인트 리스 교수팀이 <커런트 바이올로지>(
Current Biology)에 실은 논문이 바로 그 주인공이었다. 헤드라인은 ‘진보와 보수, 뇌 구조가 다르다!’
이런 일련의 연구 결과는 우리에게 어떤 메시지를 전해줄까? 우선 첫째, 정치적 성향이 뇌 구조와 관련이 깊다는 뜻은 그것이 쉽게 바뀌기 힘들다는 뜻이다. 선천적으로 타고난 것이든, 환경과 경험에 의해 생성된 것이든, 정치적으로 진보 혹은 보수적인 성향은 뇌의 구조가 바뀌는 충격 없이는 쉽게 전향되지 않는다는 뜻이다.
둘째, 정치적 성향이 공약이나 정책, 비전, 이데올로기 등 거창한 신념으로만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가 정보를 받아들이는 태도, 민감하게 반응하는 정보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새로운 자극에 민감한 성향은 새로운 아이디어에 좀더 뜨겁게 반응할 것이다. 평소 공포에 민감한 사람은 생존을 위협할지도 모르는 불확실한 변화에 두려움을 느낄 것이다.
유권자의 정치적 의사결정을 탐구해온 신경정치학자들이 꾸준히 내놓고 있는 주장은 ‘유권자의 의사결정은 이성적이라기보다 정서적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것 같다’는 것이다. 한 예로, 미국 에머리대 드루 웨스턴 교수와 그 동료들은 공화당과 민주당 지지자들에게 후보들의 연설을 보여주며 흥미로운 실험을 했다.
그 결과 공화당 지지자들은 케리 후보의 모순된 발언을 단번에 알아차린 반면, 정작 자신들이 지지하는 공화당 후보인 부시가 비슷한 모순된 발언을 범했을 때는 모호한 태도를 보였다. 이는 민주당 지지자들도 마찬가지였다.
2007년 우리나라 대선 때 한나라당과 대통합민주신당 지지자들을 대상으로 흥미로운 실험을 한 적이 있다. 그들에게 이명박·정동영 후보의 사진과 공약을 보여주며 뇌영상 촬영을 했는데, 그들에게 지지하는 후보의 공약이라며 상대 후보의 공약을 보여줘도 전혀 눈치 채지 못한 채 열렬한 ‘긍정의 반응’을 보이는 것을 측정할 수 있었다. 그들은 누구의 공약인지가 중요할 뿐, 내용엔 별로 관심이 없는 듯했다. 그럴듯하게 공약과 정책을 얘기하고 이념과 시대정신을 논하지만, 실상 그 속엔 ‘그 사람, 맘에 안 들어!’라는 정서가 숨어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