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로 가는 전봉준
눈 내리는 萬頃 들 건너가네
해진 짚신에 상투 하나 떠가네
가는 길 그리운 이 아무도 없네
녹두꽃 자지러지게 피면 돌아올거나
울며 울지 않으며 가는
우리 琫準이
풀잎들이 북향하여 일제히 성긴 머리를 푸네
그 누가 알기나 하리
처음에는 우리 모두 이름 없는 들꽃이었더니
들꽃 중에서도 저 하늘 보기 두려워
그늘 깊은 땅 속으로 젖은 발 내리고 싶어하던
잔뿌리였더니
그대 떠나기 전에 우리는
목 쉰 그대의 칼집도 찾아 주지 못하고
조선 호랑이처럼 모여 울어 주지도 못하였네
그보다도 더운 국밥 한 그릇 말아 주지 못하였네
못다 한 그 사랑 원망이라도 하듯
속절없이 눈발은 그치지 않고
한 자 세 치 눈 쌓이는 소리까지 들려오나니
그 누가 알기나 하리
겨울이라 꽁꽁 숨어 우는 우리 나라 풀뿌리들이
입춘 경칩 지나 수군거리며 봄바람 찾아오면
수천 개의 푸른 기상나팔을 불어제낄 것을
지금은 손발 묶인 저 얼음장 강줄기가
옥빛 대님을 홀연 풀어헤치고
서해로 출렁거리며 쳐들어 갈 것을
우리 聖上 계옵신 곳 가까이 가서
녹두알 같은 눈물 흘리며 한목숨 타오르겠네
琫準이 이 사람아
그대 갈 때 누군가 찍은 한 장 사진 속에서
기억하라고 타는 눈빛으로 건네던 말
오늘 나는 알겠네
들꽃들아
그날이 오면 닭 울 때
흰 무명띠 머리에 두르고 동진강 어귀에 모여
척왜척화 척왜척화 물결소리에
귀를 기울이라
【군말】1984년 《동아일보》 신춘문예 당선작. 시인은 서울로 압송되어 가는 사진을 보고 이 시를 썼다고 한다. 해진 짚신에 상투를 튼 전봉준을 향해 이름 없는 들꽃, 풀꽃 들이 상을 당한 것처럼 일제히 성긴 머리를 푼다. 전봉준을 위해 울어 주지도 못하고, 더욱이 더운 국밥 한 그릇도 말아 주지 못한 것을 화자가 자책하듯 속절없이 눈발이 그치지 않는다. 그러나 녹두꽃 자지러지게 피면 전봉준은 돌아올 것이다. 마치 저 동진강 얼음장 강줄기가 서해로 출렁거리며 쳐들어가는 것처럼. 그날을 기억하고 기다리라는 말을 화자는 그 한 장의 사진 속 전봉준의 눈빛 속에서 읽어 낸다. 참으로 그날이 오면 풀꽃 같은 사람들이 흰 무명 띠 머리에
두르고 다시 그를 맞이할 것이다.
가슴을 치고 눈물나게 하는 안도현의 전봉준입니다.
오래 된 시이니 다들 읽어보셨을 터이지마는,
세상이 수상수상해도 어쩌지 못하는 것을..
분을 삭이느라 이런 시 또 한 번 훠이 훠이 읽어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