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펌] 태권도 역사의 진실 |
자유게시판 > 상세보기 |
| |
2012-08-11 15:45:29 |
|
|
|
|
제목 |
|
|
[펌] 태권도 역사의 진실 |
글쓴이 |
|
|
박원호 [가입일자 : 2004-04-21] |
내용
|
|
태권도 역사의 진실
태권도의 역사는 해방 이후 현대에 시작된 것으로 고대역사와는 무관하다.
태권도의 직접적인 뿌리는 가라테(= 당수, 공수도)이며,
고대로부터의 우리나라 무술이 순수하게 이어진 것이 아니다.
택견이 태권도가 된 것이 아니다. 택견과 태권도는 전혀 다른 무술이다.
택견은 특유의 품밟기와 유술기법, 발차기 기법이 있으며,
초기의 태권도와 기술체계가 확연히 다르다.
초기의 태권도는 일본의 가라테와 기술체계, 복장, 훈련방법 등이 흡사하다.
태권도가 애초에 가라테에서 온 것이기 때문이다.
본 글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 1 > 태권도 국기원 부원장 이종우 님의 증언
< 2 > 초기 태권도 9대관의 실상
< 3 > 극진 가라테의 창시자 고 최배달(최영의)
-------------------------------------------------------------------------
< 1 > 태권도 국기원 부원장 이종우 님의 증언
태권도 국기원 부원장인 이종우 님이 증언하였다.
http://www2.donga.com/docs/magazine/new_donga/200204/nd2002040010.h...
(-------> 이 주소가 신동아의 해당 기사이다.
기사 전문을 보실 분들께서는 복사 떠서 주소란에 넣고 들어가보면 된다.)
이종우 님의 증언에 따르면, 이종우 부원장은 일제시대에 가라테(당시에 불린 명칭은 당수, 공수, 권법)를 배웠다고 한다. 그 가라테가 그대로 태권도로 발전한 것이라고 한다.
'태권도’라는 명칭은 1955년 4월11일 고 최홍희 총재가 중심이 됐던 ‘명칭제정위원회’에서 결정됐다. 세계적인 권위의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에도 태권도의 창시자는 최홍희씨로 나와있다.
고 최홍희 님의 증언은 '태권도와 나'라는 회고록에 나와있다.
또한 무술잡지 '마르스'에서 고 최홍희 님을 인터뷰한 기사에도 태권도 창시에 대한 이야기가 나왔다.
그 인터뷰 내용은 '마르스' 잡지의 경영자였던 한병철 님의 저서 "고수를 찾아서"에도 실렸다.
최홍희 님은 가라테를 배운 가라테인으로, 택견의 발음을 따서 태권도라는 명칭을 만든 분이다.
최홍희 님이 '택견’을 한문으로 옮기면서 ‘태권(跆拳)’으로 했다.
태권은 지축 태(跆)와 주먹 권(拳)을 합한 뜻이다.
최홍희 님이 부대에서 여러가지를 조합해 무술을 만들었는데, 가라테를 기본으로 만들었다. 최홍희가 이승만 대통령에게 ‘태권’ 휘호를 신청했는데 대통령은 쉽게 써주지 않았다고 한다.
5·16이 나고 얼마 안 됐을 때, 최홍희가 태권으로 쓰자는 제의했다.
이종우 님이 태권이 뭐냐? 가라테의 변형인데’라고 대꾸했다.
가라테(= 당수·공수)와 태권도를 합해서 태수도라는 말이 나왔다.
광복 직후 한국 무술계엔 수많은 파벌이 존재했다.
그들이 저마다 도장을 열었는데, 상당수가 가라테를 가르쳤다고 한다.
이종우 부원장은 이들을 통합해야 한다는 아이디어를 가장 적극적으로 제시했고,
엄운규 전부원장 고 이남석씨 등과 함께 실무작업을 맡았다.
그래서 누구보다도 태권도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자세히 알고 있다.
광복 이후의 태권도 문파는 지도관 청도관 무덕관 송무관 창무관 오도관…. 거기에서 파생된 유파까지 합치면 9개가 주축이었다.
우선 협회 기준으로 9개관으로 정리했다.
이종우 부원장이 통합관을 주장했다.
을지로 6가에 9개 관이 함께 쓰는 총본관 사무실을 얻었다.
태권도의 역사를 기술한 책들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하나는 전통무예에서 태권도의 원류를 찾는 부류고, 다른 하나는 광복 이후에 만들어진 신종 무예로 보는 관점이다.
한국태권도계는 오랫동안 전자를 대변해왔다. 하지만 여기에는 전통무예와 태권도를 연결시킬 만한 구체적인 물증이 빠져 있다.
반면 후자는 최근 소장파 학자들을 중심으로 제기되고 있다. 이들은 “가라테 유입설을 솔직히 인정하고, 그 위에서 가라테의 잔재를 극복해 나가야 한다”고 말한다. 현대의 경기화된 태권도는 가라테와 분명한 차이가 있지만, 품세 등에 아직까지 가라테적 요소가 남아 있다는 게 이들의 생각이다.
많은 태권도 교본들이 태권도의 뿌리를 삼국시대 이전으로 잡고 있다.
역사적 상상력을 동원하더라도 무리가 따른다.
이종우 님도 과거에는 그런 식으로 책을 썼다고 한다.
초창기에는 태권도를 해외에 보급하는 과정에서 옛날부터 있었던 한국의 전통무술이라고 하면 명분이 서고 보급이 잘 되었다.
하지만 아무리 유사성이 있더라도 그것은 사실과 다른 것이다.
역사적 원류로 본다면 중국 것이 일본으로 들어갔고 일본 것이 한국으로 들어왔다고 해야 설득력이 있다.
광복이 되고 도장을 연 사람들은 모두 가라테를 했다.
기본기를 놓고 볼 때 이렇게 막는다 저렇게 때린다 하는 건 모두 가라테와 똑같다.
그렇다면 우리 전통무예와의 유사성은 없다는 얘기인가?
언뜻 보기에는 있는 것 같지만, 기본기가 완전히 다르다.
그래서 사실상 유사성이 없다고 봐야 한다.
광복 이후 태권도가 만들어지는 과정에 영향을 끼친 무술은 가라테 뿐인가?
다른 것은 전혀 반영되지 않았는가?
그게 솔직한 대답이다.
이종우 님의 고백인즉,
"나도 별의별 것을 다 끌어들여서 책을 쓴 사람이지만, 이제는 밝힐 때가 됐어요. 가라테를 가르치는 관장들이 모여서 태권도의 형틀을 만들었고, 그 실무작업을 제가 했잖아요. 지금은 우리가 세계 정상에 있으니까 밝혀도 큰 문제가 없어요.”
잘 알려진 것처럼 택견은 한국 전통무예를 논할 때 1순위로 등장한다. 그래서 태권도의 역사성을 얘기하는 사람들은 택견과의 유사성을 강조하는 것이다.
한국 택견의 마지막 명인으로 꼽히는 고 송덕기 옹에게 직접 사사한 사람들은 당시 “태권도에 한국적 정서가 반영된 것은 사실이지만, 기술적 측면에서는 가라테의 틀을 그대로 가지고 있다.”고 주장한 바 있다.
우리 민족의 무예는 원래 3박자로 움직이는데 비해 태권도는 2박자 운동으로 볼 수 있다. 그래서 태권도는 전통무예라기 보다 일본 무예에 가깝다는 주장이 있다.
택견 입장에서 보자면 올바른 시각이다.
태권도와 택견의 발차기 자세가 어떻게 다른가?
택견의 발차기는 무릎이 구부러지지 않고 곧은 발로 올라가는데 태권도에는 그런 자세가 나오지 않는다.
한국 전통무예 중에 주먹을, 그것도 정권을 지르는 무예가 있었느냐? 이것도 논란의 여지가 있다. 여기에 대해 이종우 님은 동의한다.
이종우 부원장은 태권도의 경기화를 가장 먼저 추진한 사람이다.
모든 스포츠는 경기화해야만 상품성이 있다는 생각에서 다른 도장들이 품세 수련에 매달릴 때 한발 앞서 겨루기를 도입한 것이다.
태권도에서 겨루기가 시작된 것은 중요한 의미가 있다.
겨루기에서는 주먹보다 발차기가 효과적인데, 발차기는 전통적인 일본 가라테에서는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 용인대 태권도학과 양진방 교수는 “가라테는 손 동작과 품세를 강조하며 겨루기가 없다. 따라서 발차기 겨루기 경기화 등은 현대 태권도와 가라테의 결정적 차이”라고 말했다. 즉 겨루기를 본격적으로 시작하면서 태권도가 가라테의 그늘에서 벗어났다는 설명이다.
이상의 글로 태권도와 가라테, 태권도와 택견의 관계를 알 수 있다.
태권도와 택견은 서로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기술이 다르고, 직접적인 전수관계 또한 없다.
반면에 초기 태권도와 가라테는 기술상 완전히 동일하며, 도복도 동일하고, 직접적인 전수(스승과 제자)관계가 있다.
초기 태권도 9대 관장들은 모두 일본 가라데인으로부터 전수한 정통 가라데인이었다.
태권도의 직계조상은 가라테이지 결코 택견이 아니다.
========================================================================
아직도 태권도를 우리나라 전통 무술로 아는 분들이 있는 것 같네요.
본문의 이종우 부원장의 인터뷰말고 다른 태권도 원로의 기사를 본 기억이 있는데
그 원로도 같은 증언을 하더군요.
|
|
|
|
|
|
|
|
기원이 뭐 중요합니다..<br />
<br />
어쨌든,, 지금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무술이고,,, 올림픽 정식종목이기도 하고,,,<br />
실제로 세계적으로 잘 전수되어서,, 태권도를 모르는 외국인도 별로 없는 상태죠...<br />
<br />
태권도학과가 있는 대학도 있고,,, 동네마다 태권도 학원이 들어서 있고,, 태권도로 먹고사는 사람만,,<br />
수십만을 될테니,,, 밥벌이를 위해서라도,, 태권도 꾸준히 발전시켜야죠. |
|
|
|
댓글수정 |
|
|
|
|
|
|
답글쓰기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