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작페이지로 시작페이지로
즐겨찾기추가 즐겨찾기추가
로그인 회원가입 | 아이디찾기 | 비밀번호찾기 | 장바구니 모바일모드
홈으로 와싸다닷컴 일반 상세보기

트위터로 보내기 미투데이로 보내기 요즘으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은행과 지폐의 기원
자유게시판 > 상세보기 | 2012-06-27 22:33:56
추천수 9
조회수   1,335

제목

은행과 지폐의 기원

글쓴이

장준영 [가입일자 : 2004-02-07]
내용
옛날이나 지금이나 금이 가장 궁극적인 가치 기준의 척도요, 보배의 대표격이지요.

요즘이야 튼튼한 금고도 얼마든지 있고 경비 서비스도 잘 되어 있고 은행도 있지만,

옛날에는 금을 보관하기 난감했을 것입니다.

그래서 옛날 서양에서는, 튼튼한 금고를 가진 마을의 금 세공업자에게 금을 맡겼다고 합니다.

이 세공업자는 금을 맡긴 사람에게 보관증을 써 줬는데,

사람들은 이 보관증이 상거래에 편리하게 이용될 수 있다는 걸 깨닫기 시작했댑니다.

금덩이나 금화를 주고받는 대신 이 보관증을 주고받게 된 것이지요.





금 세공업자에게 사람들이 금을 맡기므로, 금고에는 늘 많은 금이 쌓여 있었습니다.

가끔 맡긴 사람이 되찾아가기도 하지만, 한꺼번에 일시에 몰려와 싹 찾아가지는(대량인출 사태) 않거든요.

그러니 금 세공업자들은, 금을 놀리면 뭐하겠냐, 원하는 사람에게 빌려주는 게 낫다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대출해서 이자를 받으면 그냥 앉아서 돈 버는 거니까.

금덩이를 직접 빌려줄 필요도 없었습니다.

내가 당신한테 이만큼의 금을 빌려준다, 내가 빌려준 금은 내 금고 안에 보관되어 있다라는 대출용 보관증만 써주면 그만이었습니다.





이같은 보관, 대출업은 금 세공업자들의 부업으로 시작되었으나,

시간이 지나며 이 부업으로 짭잘한 이득을 챙기고 부를 쌓고, 이것이 본업이 되는 현상이 벌어집니다.

이러다보니, 보유하고 있는 금이 많아야 이 새로운 본업을 더 크게 벌일 수 있을테니,

예전에는 금을 보관하는 보관료를 받았지만, 이제는 거꾸로 이자를 주게 되었고,

짐작컨대, 다른 세공업자들보다 더 많은 이자를 주겠노라고 호객을 하는 업자도 생겨났을 것입니다.

더욱 시간이 흐르면서, 이 신흥 업종에서 파산하는 업자도 나타났을 것이니,

가능한 많은 금을 비축해 놓는 게 더욱 중요해졌을 것입니다(지불준비금).





은행은 이렇게 해서 생겨났다고 합니다.

그리고, 금은으로 만든 금화, 은화가 아닌, 종이에 인쇄한 쪼가리일 뿐인 지폐도,

애초에는 금태환권으로서, 이 지폐를 들고오면 이 액면의 금액만큼의 금을 지급해 준다는 금본위제도 여기에서 생긴 것이니,

근대 이후 지폐의 기원도 이와 같은 것입니다.

실제로 옛날 달러화를 보면, 이 액면만큼의 금(고액권)이나 은(소액권)을 지급해 준다는 설명이 명기되어 있습니다.

세계대전동안 강대국들이 금 유통을 통제, 조절하고,

이미 강대국으로 부상하던 미국, 영국 등이 금본위제를 포기하고 자기네 신용으로 지폐를 찍기 시작해서 지금에 이르고 있으며,

(전쟁 당시에는 전쟁채권이 주식과 같은 투자 대상이었다잖습니까. 이길만한 나라의 채권이 시세가 좋고)

지금에 와서는 미국의 패권적 지위가 흔들리면서 금값이 더욱 폭등하는 현상,

그래도 전후에도 역시 미국연방은행(연방'준비'제도 - 이 명칭에서도 이러한 역사적 의미를 엿볼 수 있죠) 지하에는 엄청난 양의 금이 보관되어 있는데, 역시 근대 은행, 화폐 제도의 밑바탕은 금이고,

금이 가장 궁극적인 가치 척도라는 걸 새삼 알 수 있으며,

또 한편으로, 아무리 미국의 지위가 흔들려도 정치, 경제, 과학기술 등 모든 면에서 패권의 초석을 닦은 미국의 달러화는 불패이지 않겠나라는

(친미건 반미건 떠나서)

여러가지 생각이 드는 거지요…

설명드렸다시피, 현대 화폐, 즉, 금화, 은화를 제외한 지폐, 동전은 소재가치는 미미하지만,

그 발행처(발권은행 내지 정부)의 신용에 의지하여 액면가로 가치를 인정받고 유통되는 것이고,

수표, 어음, 신용카드는 그 신용거래 경제가 더 고도화되면서 생긴 수단이니,

즉, 신용이 무너지면 화폐를 위시한 이같은 거래 매체들은 휴지조각 되는 겁니다.

신용이 무너지는 건 보유하고 있는 자산이 고갈되어 털어도 개털이기 때문이고,

저신용사회일수록 금, 달러, 원자재, 사치재 등으로 집중됩니다.

IMF 이후 우리 사회가 서울-수도권, 명문대, 삼성을 위시한 거대 재벌, 브랜드 등으로 급속히 집중 수렴하는 것도,

우리 삶이 그만큼 팍팍하고, 낙관적으로 느긋이 기대할만한 무엇, 짜낼만한 리소스가 없는

불안한 시대, 생존이 급박한 세태라서 안전빵으로 가려는 때문일 것입니다.

극단적 지경에 이르면, 내란 상황처럼 사재기, 자국 화폐 폭락(진짜 휴지조각 됨), 금값 폭등, 약탈, 폭동, 무정부 상태…

보유한 자산에 기반해서 신용이 파생되고, 이 신용으로 성립한 근대 금융자본주의 제도, 질서가

신용이라는 실체가 모호한 무형 개념의 거품이 꺼지면서 붕괴되고 있는데,

(리먼사태 직후 "투자의 시대는 가고 보유의 시대가 왔다"고 누가 말했던데, 의미심장한 한 마디라 생각합니다)

이같은 절박함 때문에, 그 금융자본주의의 허상적 거품의 진원지인 미국의 불패가 더 부각되고 있다는 건 참 역설적입니다.

반면에, 이렇듯 신용이 붕괴되고 신용에 기반한 금융 제도 질서도 붕괴되며 현물로 수렴하는 와중에

부를 챙길 기회가 생기고, 그렇게 챙기는 사람들도 있으니, 눈치빠른 사람에게는 세상의 불안이 희소식인 게지요 ㅎㅎ
추천스크랩소스보기 목록
sanooc@naver.com 2012-06-27 22:46:39
답글

저쪽 동남아 쪽 가면 '금행' 이라고 많이 봤습니다. <br />
뻘건 판넬에 금색으로 글자를 쓴 간판. <br />
금본위가 아직도 남아 있는게 (물론 화페도 통용되지만) 그 나라 사람들 보면 목에 팔목에 치렁치렁<br />
누런 금들을 치장하고 다니는 이유가 장준영님 말씀 하신 것과 내용이 같습니다. <br />
부자라서 금을 치장하고 다니는게 아니라 은행 금리는 코딱지 만큼이라 의미가 없고, <br />
그렇게 치장하고 다니

장준영 2012-06-27 23:13:19
답글

└ 본문에서도 설명드렸다시피 현대 화폐, 즉, 금화, 은화를 제외하고,<br />
지폐 및 동전은 소재가치는 미미하지만, 그 발행처(발권은행 내지 정부)의 신용에 의지한 거거든요.<br />
수표, 어음, 신용카드는 그 신용거래 경제가 더 고도화되면서 생긴 수단이구요.<br />
즉, 신용이 무너지면 화폐를 위시한 이같은 거래 매체들은 휴지조각 되는 겁니다.<br />
신용이 무너진다는 건 보유하고 있는 자산이 없다, 털어도 개털이다라는

채주헌 2012-06-27 23:22:31
답글

인터넷 글에서는 보기 힘든 정통적이고 과학적인 화폐론입니다.<br />
요즘엔 정작 경제학 먹물 많이 먹을수록 더 모르더군요.<br />
세상이 말세라 학문도 막장인듯...

박진수 2012-06-27 23:47:32
답글

MONEY AS DEBT 애니메이션에서.. 다룬 내용 이지요.. 새삼스러울 것도 없습니다.<br />
<br />
"IMF 이후 우리 사회가 서울-수도권, 명문대, 삼성을 위시한 거대 재벌, 브랜드로 급속히 집중 수렴하는 것도, <br />
우리 삶이 그만큼 팍팍하고, 낙관적으로 느긋이 기대할만한 무엇, 짜낼만한 리소스가 없는 <br />
불안한 시대, 생존이 급박한 세태라는 반증일 것입니다. "<br />
<br />
IMF

sanooc@naver.com 2012-06-28 00:04:49
답글

장준영님 말씀대로 신용에 의지하는 것엔 사회적 기반이 안정적이되어야 한다는 것이죠. <br />
극단적인 예로.. 2차 세계대전중 바구니에 지폐를 담아 놨더니 지폐는 놔두고 바구니만 가져갔다는... <br />
이런 상태라면 화폐는 분명 휴지에 불과한 것이구요. <br />
안정권을 벗어나면 현물의 가치에 집중되고 급기야 화폐란 단위는 무의미해지겠죠. <br />
그중 최고는 금이라는 것이죠. 세계 대부분의 국가가 금본위를 체택하고 있으

박진수 2012-06-28 00:14:47
답글

"세계 대부분의 국가가 금본위를 체택하고 있으니요" 헉...<br />
<br />
세계 대부분이 금본위제를 채택하고 있다구요? 처음듣는 소리군요.<br />
우리나라도.. 일본도.. 중국도.. 북한도.. 대만도..<br />
인도도.. 브라질도.. 칠레도.. 캐나다도 영국도.. 금본위제 포기한지가 언젠인데요.. 잘 못 아시고 있으신것 같습니다.<br />
<br />
더 쓰고 싶지만.. 여기까지... ㅡ.ㅡ

장준영 2012-06-28 00:18:05
답글

존경하는 선배 형님이 계십니다. 단국대학교 행정학 교수님인. 열정적인 젊은 학자이고 야권 정치에도 힘써 조력하는 분입니다. <br />
그런데, 오래 전부터 무기력에 빠져 있다고 호소하십니다. 이미 세상은 다 된 것 아니냐, <br />
나는 종교인이 아니지만(기독교적이기보다 도리어 민족종교 쪽이시죠), 종말론적 공포감이 든다. <br />
자본주의 질서가 붕괴하고, 그걸 대체할 무엇도 안 나오고, 환경오염도 임계점을 넘은 듯하다. <br

이병철 2012-06-28 00:30:12
답글

통화승수의 기원....재밌네요.

sanooc@naver.com 2012-06-28 00:35:14
답글

세계 대부분의 국가들이 금본위를 체택(하려)하고 있다는 것인데 오타가 났군요. ㅎ <br />
세계 중앙 은행들이 금 사제기에 나서고 금본위제 부활을 원한다는 것으로 ... <br />
2008년 미국발 금융위기 이후 달러의 가치가 하락되면서 다시금 금본위제도에 대한 바람들이 대단해 <br />
졌죠. 특히 중국이 금본위제도를 도입한다면 문제가 확~ 달라집니다 ~ <br />

장준영 2012-06-28 00:43:54
답글

올 초엔가 한국경제 맞나? 언뜻 기사 굵은 활자만 본 적 있는데,<br />
향후 30년 정도 장기 전망을 하면 금값이 한 돈에 60만원까지도 갈 수 있댑니다.<br />
저는 아직도 황당할 정도의 소리라고 생각하지만, 앞으로 계속 폭등할 수 있다고 보긴 봅니다.<br />
중국이 금 및 고가 현물, 미술품, 골동품 등 안정 자산들 싹쓸이하고 있는 건 다들 아시지요.<br />
미국발 금융위기 이후 금융자본주의 자체가 흔들리는 와중에,

박진수 2012-06-28 00:52:06
답글

중국은 금가지고 밀어 붙히지 않을 겁니다.. <br />
금으로 몰리는게 과거 금본위제나.. 전란시.. 현금화할 수단이라.. 금을 보유들하는데요.. <br />
지금은 금본위제도 아니고.. 전세계가 나서서 금본위제 한다고.. 하면.. 그 많은 금을 어디서.. <br />
댄깔요.... <br />
<br />
제가 중국이라도.. 절대로.. 생산량이 달리는 금가지고.. 미국 숨통을 쪼이지 않을 것 같습니다. <br />
조금만 더 준비

sanooc@naver.com 2012-06-28 00:57:01
답글

무섭긴 하죠. 유지되어져 오던 것들이 무너진다는 것이요. <br />
그런데, 리소스를 창출해 낼려면 큰 변화가 와야 할 것 같습니다. <br />
그 대안이 어쩌면 중국이 될수도 있다는 이유는 잠재력에 두는 것 같습니다. <br />
성장해 내는 속도를 보자면 아무도 그 기운을 거스를 수 없고, 미국은 스스로의 문제만 해결하기도<br />
힘든 지경이니 미국의 행보만 바라보고 대기하지는 않을 것 같기도 합니다. <br />
금을 싹쓸

  • 광고문의 결제관련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