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뿌리 깊은 나무는 백성, 내가 뿌나에 고마와하는 이유 |
자유게시판 > 상세보기 |
| |
2011-11-19 13:57:37 |
|
|
|
|
제목 |
|
|
뿌리 깊은 나무는 백성, 내가 뿌나에 고마와하는 이유 |
글쓴이 |
|
|
김영진 [가입일자 : 2004-11-29] |
내용
|
|
뿌나에 대하여 글을 적으려고 하는데 아래에 글이 올라오더군요. 그래도 그냥
대한민국을 5천년 단일민족 국가라고 하는데에는 그 근본적인 이유로 중국과 다른 언어를 들고 있고 그것이 가장 큰 차이입니다. 하지만 사실은 세종이 한글을 창제 반포하기 전까지 그리고 그 후로도 계속적으로 중국의 변방 혹은 스스로 소중화라고 하면서 집권층에서 중국의 일부로 주장을 합니다.
하지만 대한민국이 일제의 식민통치에 버티어 내고 현재의 모습으로 된 가장 큰 이유 중 하나는 한글 때문입니다. 집권층에서 만들어낸 문화적 소산을 보면 중국의 역사적 부속물과 같은 역사와 문화적 모습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한민족의 정체성이 만들어 진 것도 역시 한글이 가장 큰 역할을 하였습니다.
지난 14회의 뿌리깊은 나무에서의 대사 중에 가장 감동적인 부분은 강채윤과 세종이 벌이는 논쟁입니다. 채윤의 태평성대라는 말을 받아서 세종이 내밷는 "임금이 태평한 태평성대를 보았느냐. 내 마음은 지옥이기에 그나마 세상이 평온한 것이다"고 답입니다. 그리고는 자신이 하는 일에 참여해 줄 것을 부탁하고, 거절하는 강채윤에게 계속해서 싸우자고 세종은 부르짓습니다.
저는 이 대사 보다 도 더 이 드라마의 핵심은 13회에서 강채윤과 재회 후 궁으로 돌아가는 소이의 말에 있다고 생각합니다. “아직 내가 할 일이 남았다”고 말하는 소이의 대사입니다. 그리고 세종을 만나는 소이의 이야기를 보면 한글 창제는 마치 소이의 일인 것인 양 이야기합니다.
여기서 작가가 가지고 있는 역사관과 정치관이 들어난다고 생각이 됩니다. 정치 체계란 그 시대의 민중들의 이해와 요구를 반영하고 그들의 필요에 답해주는 것이라는 민본주의 사상이죠. 김영현 작가의 뿌리 깊은 나무에는 민중을 대변하는 사람들이 한글의 창제에 직접 참여합니다. 그 시대의 가장 아픈 상처를 간직한 백성들….
뿌리 깊은 나무에서 말하는 정치관이 신권 위주 또는 사대부 위주의 정치 체계에 관한 부분은 드라마의 한 갈등의 축이기는 하지만 근본적인 문제는 아닙니다. 보다 근본적인 문제는 누구를 위한 정치를 할 것인가를 되물어보고 그것을 어떻게 풀어갈 것인가를 고민하는 것이라고 생각을 합니다.
김작가가 고마운 것은 백성이 역사의 주체가 아닌 적은 단 한 순간도 없었습니다. 우리 민족이 있게 한 한글의 창제과정을 나름대로 풀어서 드라마를 썻다는 것 보다는 그 드라마 속에서 힌글을 창제하는데 근본이 된 백성이 있고, 백성이 참여하여 한글을 창제하였다고 드라마를 적는데 있습니다.
왕은 단지 백성의 이해와 요구를 수용하는 창구였고, 한글의 창제는 백성의 요구가 있었고 그에 순응하여 임금이 따른 것이니까요.
그것이 승리의 역사이고 창조의 역사가 되는 진정한 길이기도 하고요.
현대로 돌아와서 우리는 발전된 정치체계를 가지고 있고, 피를 흘리며 민주주의를 지켜낸 역사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한번의 실수로 재벌과 1%를 위한 정권을 만들고 지난 훌륭한 역사를 되돌리는 우를 범하였습니다. 다행히 박원순 시장을 시민들이 세우므로서 잘못된 역사를 바로 잡을 수 있는 교두보를 마련하기는 하였습니다.
뿌리 깊은 나무는 집중을 해서 보아야하는 드라마이고, 극을 구성하는 배우, 감독, 작가들이 모두 훌륭한 것은 사실입니다. 드라마의 내용이 대한민국 사람이면 누구나 자랑스러워 하는 '한글'의 창제 과정이 들어있습니다. 하지만 이 드라마가 더 소중한 것은 그 드라마의 한글의 창제 과정에 핍박받던 백성이 있다는 것입니다.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