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작페이지로 시작페이지로
즐겨찾기추가 즐겨찾기추가
로그인 회원가입 | 아이디찾기 | 비밀번호찾기 | 장바구니 모바일모드
홈으로 와싸다닷컴 HIFI게시판 상세보기

트위터로 보내기 미투데이로 보내기 요즘으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스테레오파일의 대규모 블라인드 테스트 결과
HIFI게시판 > 상세보기 | 2007-11-15 18:29:05
추천수 0
조회수   871

제목

스테레오파일의 대규모 블라인드 테스트 결과

글쓴이

김동현 [가입일자 : 2005-01-05]
내용
: 여러분들은 이 결과를 어떻게 생각하세요?

:

: Q1) 참여자들이 애드컴과 VTL을 구분했습니까?

: Q1-1)했다면 얼마나 잘 구분했다고 생각하세요?

위 실험 또는 테스트에서는 구분을 못하는 기준을 50%에 놓고 control group을 가정했을때 유의미한 차를 볼 수가 없는 것으로 나옵니다. odds ratio 비교를 해보니

차이가 없는 수준이네요. 각 세션 별로 하나 몽창 묶어서 테스트하나 그러합니다.



: Q2) 스테레오파일이 주장하듯,

: 황금귀들이 있고, 이 사람들이 소리를 더 잘 구분했다고 생각하십니까?



이 실험에서는 참가자들이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오지는 않네요.



여러 논문들을 읽고 유의미하니 무의미하니 컨퍼런스를 하던때가 무척이나 지난 것 같습니다. 간만에 도표를 보니...



결론은 두가지 시스템에서 나오는 소리에 대해 위 실험의 피검자들은 차이를 느낄 수 없었다 이겠구요. 두가지 시스템에서 나오는 소리의 차이는 없다는 아니겠읍니다.



다시 말하면 위 실험에서는 두가지 시스템에서 나오는 소리에 대해 피검자들 청각적인 판단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고 이것을 두가지 시스템에서 나오는 소리에 차이가 없다 하고는 다른 말이지요.



위 실험의 가장 큰 약점은 계량화 하는 것이 결국은 피검자의 판단이라는 주관적인 잣대라는 것입니다. ( 객관적인 것이 아닌... 예를 들면 어떤 약 먹은 그룹과 안 먹은 그룹들을 10년간 보니까 풍에 걸린 사람이 얼마다... 이런 것이 아니고 주관적인 판단을 넣은 것이거든요. )



차라리 특정 위치에서 같은 볼륨 레벨로 맞추고 각 시스템의 주파수 특성을 본다든지 왜율을 본다든지 transient 특성을 체크한다든지 하는 계량적인 방법이 있을텐데요.



그런 실험들은 있었는지 모르겠읍니다.



이런 주관적인 설문 조사? 비슷한 것은 저도 예전에 논문을 쓸때 해보아서 설문 문항 작성에도 무척 바이어스가 크게 들어가 고민을 하다가 포기한 적이 있읍니다.



예를 들면 저의 외래 진료에 만족하십니까?



초안은 1) 만족 2) 불만족



두번째 안은 1) 아주만족 2) 보통 만족 3) 보통 4) 약간 불만 5) 아주 불만



세번째 안은 1) 만족 2) 보통 3) 불만.



결국 이런 구조로 안을 만들어서 한번 해볼려고 했더니 ....

각 안마다 같은 사람도 다르게 표시를 하고 또 보통이 많더라는 겁니다...

보통을 어디다가 넣어야할지... 보통에 선택한 사람은 만족 불만족 두개를 가지고

선택하라고 하면 어디다가 할지....--;;



그외에도 주관적인 판단을 잣대로 잡을경우.... 바이어스가 도대체 무엇부터 생각하고 있어야 할까요... 일단 피검자가 청력은 다 검사를 받아서 각 피검자간의 청력에 대한 차이가 없어야 할테고, 주관적인 판단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다른 모든 상황은 배제해야 할테고.... 오랜 지루한 시간동안 소리를 듣고 판단을 내릴 수 있는 개인간의 감각기관에 대한 감수성의 지속시간도 일정하다는 가정이 있어야 할테고. ....



보통 약복용 효과를 볼때 결과치를 잡는 것은 환자가 느끼는 것으로 결과물을 잡고 평가하지 않고 객관적인 데이타 예를 들면, 오전 혈압, 풍 유무, 심근 경색 유무, 밤에 일어나 오줌눠야하는 횟수... 뭐 이런 것으로 효용 유무를 판단할 겁니다.

보통 환자들의 life quality 개선의 평가에서도 객관적인 잣대를 가지고 하려고 하지 단순하게 좋다 아니다 로 하지는 않는 것 같구요.



그 외에 이상욱님도 잘 아시겠지만 이런 한 세션이나 한 테스트의 결과를 두고 그것을 일반화하는 오류는 하지 않으시겠지요.



물론 이런 소리의 차가 있다 없다를 두고 많은 수의 사람을 동원하여 실험을 하는 일은 많지가 않아 일반화 할 수 있는 통계적인 어떤 의미가 이 실험에 있는지는 잘 파악할 수 는 없습니다. 일 예로 여성호르몬 치료가 유방암 에 대해 위험도를 높힌다 아니다 높히지 않는다 .... 굉장히 연구가 많습니다. 어떤 실험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네, 어떤 논문에서는 차이가 없네.... 그래서 한동안 차이가 없다고 해서 호르몬 치료가 많이 시행이 되다가 차이가 있다고 쓰던 약 다 끊고....



한가지 테스트로 일반화 하기는 어렵지만 위 테스트는 참가자들이 두가지 시스템에 대해서 차이를 들었다고 할만한 유의미한 결과는 보이지 않았읍니다.



그렇다고 해서 두 시스템에서 나오는 소리가 다르지 않다는 말은 아닐겁니다.



ㅋㅋ
추천스크랩소스보기 목록
정대식 2007-11-16 09:42:26
답글

"결론은 두가지 시스템에서 나오는 소리에 대해 위 실험의 피검자들은 차이를 느낄 수 없었다 이겠구요. 두가지 시스템에서 나오는 소리의 차이는 없다는 아니겠읍니다. <br />
<br />
다시 말하면 위 실험에서는 두가지 시스템에서 나오는 소리에 대해 피검자들 청각적인 판단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고 이것을 두가지 시스템에서 나오는 소리에 차이가 없다 하고는 다른 말이지요."<br />
<br />
김동현님 말씀이 가장 정확

  • 광고문의 결제관련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