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작페이지로 시작페이지로
즐겨찾기추가 즐겨찾기추가
로그인 회원가입 | 아이디찾기 | 비밀번호찾기 | 장바구니 모바일모드
홈으로 와싸다닷컴 일반 상세보기

트위터로 보내기 미투데이로 보내기 요즘으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와싸다 지식검색 - 雪後始知松栢操 ...
자유게시판 > 상세보기 | 2009-12-29 10:32:42
추천수 3
조회수   1,222

제목

와싸다 지식검색 - 雪後始知松栢操 ...

글쓴이

도연정 [가입일자 : ]
내용



雪後始知松栢操
事難方見丈夫心

눈 내린 뒤에야 소나무와 잣나무의 푸름을 알고, 큰일을 겪고 나서야 장부의 마음이 보인다는 뜻입니다.

소나무에 대한 한시 중 평소 자주 듣던 위 글을 활용하려고 하는데,
저의 소양부족으로 인터넷 검색으로도 원 출처를 알수 없네요

와싸다 회원님들의 도움을 바랍니다.
추천스크랩소스보기 목록
윤석준 2009-12-29 10:38:42
답글

http://21.new21.net/technote/read.cgi?board=zen&y_number=282&nnew=1<br />
<br />
62번 같네요...저도 전혀 모름 검색만 해봤음

junsik_byeon@pharostech.co.kr 2009-12-29 10:38:51
답글

선서(禪書)인 《허당록(虛堂錄)》에 보면 <br />
‘설후시지송백조 사난방견장부심(雪後始知松柏操 事難方見丈夫心)’라는 선구(禪句)가 있습니다. <br />
<br />
라고 구글이 말해주네요. ^^

정영회 2009-12-29 10:46:50
답글

허당록이면...............그유명한 허당 이승기가 &#50043;다능..................^^

kibowo@hanmir.com 2009-12-29 10:59:24
답글

답글 감사합니다<br />
저도 인터넷 검색을 해보니까 위 시구를 사용(인용)한 사람들은 많은데, 정작 원 출처에 대한 언급을 찾을 수가 없군요<br />
혹자는 논어라고도 하고 명심보감에서 따온 것이라고도 하고...<br />

kipumege@empal.com 2009-12-29 11:00:43
답글

<br />
추사의 세한도네요 <br />
저 그림의 제목 세한도는 논어 자한편의 歲寒然後知松柏之後彫也에서 유래<br />
허당록의 저 구절도 논어의 저 글귀에서 유래한 것이 아닐까 추측해봅니다

kibowo@hanmir.com 2009-12-29 11:01:28
답글

아 참 추사의 세한도와 위 시구와는 소나무를 소재로 했다는 것 외에는 연관이 없습니다,.<br />
그냥 소나무 그림을 찾다보니 링크하게 되었네요

김지현 2009-12-29 11:10:48
답글

좋은글이네요...

권기수 2009-12-29 11:10:53
답글

위 그림에서 잘린 부분에 발문이 있는데, 그 부분에 논어의 본 구절이 나옵니다.<br />
그러니 세한도와 완당의 글은 함께 묶어 제대로 된 '세한도'라 할 수 있지요.<br />
http://blog.naver.com/bhjang3?Redirect=Log&logNo=140036533615

junsik_byeon@pharostech.co.kr 2009-12-29 11:19:03
답글

권기수님께서 알려주신 링크에 가보았습니다.<br />
참 좋은 글이더군요.<br />
공자께서 말씀하신 말씀을 조금 더 구체적으로 만든 글이 본문의 글로 보입니다.<br />
<br />
다만 이렇게 좋은 말과 글을 전두환따위가 <br />
백담사에 남겼다는데에 대해 코웃음을 칠 뿐입니다.

kibowo@hanmir.com 2009-12-29 11:34:51
답글

권기수님 말씀대로 잘린 부분 없이 올렸습니다.<br />
자세히 읽어보니 제가 인용한 시구와 완당의 글이 상당히 일치되는 것 같네요<br />
그런데 위 시구 그대로 나오는 최초의 원저자는 누굴까요?

kipumege@empal.com 2009-12-29 12:03:28
답글

雪後始知松栢操 <br />
事難方見丈夫心 <br />
<br />
이 시 자체는 위에 변준식님 말씀처럼 南宋때 허당선사가 지은 것인데 <br />
저 시의 의미와 논어의 저구절이 말하는 의미가 같은 걸로 보아서는 <br />
허당선사도 논어의 저구절에서 차용한 것이라 생각합니다. <br />
비록 앞부분을 차용했더라도 이 시의 원저자는 허당선사로 봐야겠지요 . <br />
<br />

kibowo@hanmir.com 2009-12-29 12:55:06
답글

많은 관심 감사드립니다.<br />
최흥섭님 말씀처럼 변준식님께서 언급하셨던 허당록에 처음 등장했나 보군요

정영회 2009-12-29 13:50:37
답글

- 經文資訊】卍新纂續藏經 第六十五冊 No. 1295《禪宗頌古聯珠通集》CBETA 電子佛典 V1.18 普及版<br />
X65n1295_p0529b06(06)&#9553;雪後始知松柏操。事難方見丈夫心。(尼無著總)<br />
<br />
- 天&#30495;毒峰善禪師要語<br />
    參學門人悟深編集<br />
  上堂<br />
諸大德&#26082;來這裡相從貧道參禪究明生死須依貧<br />
道家風行持他後決不相&#36090;各各俱要&#2

윤석준 2009-12-29 10:38:42
답글

http://21.new21.net/technote/read.cgi?board=zen&y_number=282&nnew=1<br />
<br />
62번 같네요...저도 전혀 모름 검색만 해봤음

junsik_byeon@pharostech.co.kr 2009-12-29 10:38:51
답글

선서(禪書)인 《허당록(虛堂錄)》에 보면 <br />
‘설후시지송백조 사난방견장부심(雪後始知松柏操 事難方見丈夫心)’라는 선구(禪句)가 있습니다. <br />
<br />
라고 구글이 말해주네요. ^^

정영회 2009-12-29 10:46:50
답글

허당록이면...............그유명한 허당 이승기가 &#50043;다능..................^^

kibowo@hanmir.com 2009-12-29 10:59:24
답글

답글 감사합니다<br />
저도 인터넷 검색을 해보니까 위 시구를 사용(인용)한 사람들은 많은데, 정작 원 출처에 대한 언급을 찾을 수가 없군요<br />
혹자는 논어라고도 하고 명심보감에서 따온 것이라고도 하고...<br />

kipumege@empal.com 2009-12-29 11:00:43
답글

<br />
추사의 세한도네요 <br />
저 그림의 제목 세한도는 논어 자한편의 歲寒然後知松柏之後彫也에서 유래<br />
허당록의 저 구절도 논어의 저 글귀에서 유래한 것이 아닐까 추측해봅니다

kibowo@hanmir.com 2009-12-29 11:01:28
답글

아 참 추사의 세한도와 위 시구와는 소나무를 소재로 했다는 것 외에는 연관이 없습니다,.<br />
그냥 소나무 그림을 찾다보니 링크하게 되었네요

김지현 2009-12-29 11:10:48
답글

좋은글이네요...

권기수 2009-12-29 11:10:53
답글

위 그림에서 잘린 부분에 발문이 있는데, 그 부분에 논어의 본 구절이 나옵니다.<br />
그러니 세한도와 완당의 글은 함께 묶어 제대로 된 '세한도'라 할 수 있지요.<br />
http://blog.naver.com/bhjang3?Redirect=Log&logNo=140036533615

junsik_byeon@pharostech.co.kr 2009-12-29 11:19:03
답글

권기수님께서 알려주신 링크에 가보았습니다.<br />
참 좋은 글이더군요.<br />
공자께서 말씀하신 말씀을 조금 더 구체적으로 만든 글이 본문의 글로 보입니다.<br />
<br />
다만 이렇게 좋은 말과 글을 전두환따위가 <br />
백담사에 남겼다는데에 대해 코웃음을 칠 뿐입니다.

kibowo@hanmir.com 2009-12-29 11:34:51
답글

권기수님 말씀대로 잘린 부분 없이 올렸습니다.<br />
자세히 읽어보니 제가 인용한 시구와 완당의 글이 상당히 일치되는 것 같네요<br />
그런데 위 시구 그대로 나오는 최초의 원저자는 누굴까요?

kipumege@empal.com 2009-12-29 12:03:28
답글

雪後始知松栢操 <br />
事難方見丈夫心 <br />
<br />
이 시 자체는 위에 변준식님 말씀처럼 南宋때 허당선사가 지은 것인데 <br />
저 시의 의미와 논어의 저구절이 말하는 의미가 같은 걸로 보아서는 <br />
허당선사도 논어의 저구절에서 차용한 것이라 생각합니다. <br />
비록 앞부분을 차용했더라도 이 시의 원저자는 허당선사로 봐야겠지요 . <br />
<br />

kibowo@hanmir.com 2009-12-29 12:55:06
답글

많은 관심 감사드립니다.<br />
최흥섭님 말씀처럼 변준식님께서 언급하셨던 허당록에 처음 등장했나 보군요

정영회 2009-12-29 13:50:37
답글

- 經文資訊】卍新纂續藏經 第六十五冊 No. 1295《禪宗頌古聯珠通集》CBETA 電子佛典 V1.18 普及版<br />
X65n1295_p0529b06(06)&#9553;雪後始知松柏操。事難方見丈夫心。(尼無著總)<br />
<br />
- 天&#30495;毒峰善禪師要語<br />
    參學門人悟深編集<br />
  上堂<br />
諸大德&#26082;來這裡相從貧道參禪究明生死須依貧<br />
道家風行持他後決不相&#36090;各各俱要&#2

  • 광고문의 결제관련문의